‘월급만큼 일한다 vs. 열심히 일해 성장한다’ 요즘 직장인들은 이렇게 일합니다.

‘월급’은 여러분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여러분은 지금 받고 있는 월급에 만족하시나요? 아마 이에 대한 답변은 사람들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얼마 전 ‘월급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이색 설문조사를 실시한 곳이 있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바로 시장조사전문기업인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입니다.

트렌드모니터에서는 전국의 만 19세에서 59세 직장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월급에 대한 만족도와 그 이유, 월급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월급과 투자에 관한 의견 등을 복수응답으로 물었는데요. 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지 함께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나에게 월급이란?

과연 직장인에게 있어 월급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응답자의 64.1%는 월급이 ‘내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61.8%는 ‘안정적 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수단’이라고 밝혔죠. 이어 46.7%는 ‘생존의 수단’ 41.4%는 ‘가족/가정을 위해 사용되는 돈’ 40.6%는 ‘내 시간을 회사에 맡긴 대가’ 39.9%는 ‘내 자산을 조금씩 늘릴 수 있는 기본적인 돈’이라는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월급이 나와 내 가정이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는데 동의하고 있는 것 같네요.

 

2. 월급에 만족하시나요?

그렇다면 여러분은 월급의 액수에 만족하시나요? 이 질문에 대해 46.9%는 ‘만족하지 못하는 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33.4%는 ‘보통’이라고 답했으며 19.7%만이 ‘월급에 만족하는 편’이라고 답했네요. 월급에 대한 만족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그리고 20~30대 젊은 직장인들에게 있어 더욱 낮은 편이었으며, 다른 형태의 기업들보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의 만족도가 낮은 것도 특징적이었습니다. 또한 당연하게도 현재 받고 있는 급여의 수준이 낮을수록 월급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는데요. 다만 상대적으로 고소득자로 분류되는 직장인의 경우에도 월급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이 눈에 띄네요.

 

3. 월급에 만족 못하는 이유 ‘상대적 박탈감’ 때문?

그렇다면 이들은 왜 월급에 만족하지 못하는 걸까요? 응답자의 53.3%는 기본적으로 절대적인 급여 수준이 낮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이런 생각은 성별과 연령에 관계 없이 공통적이었죠. 월급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 2위는 ‘월급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이기 때문’이었는데요. 36.7%가 이 응답을 했습니다. 이어 36.2%는 ‘다른 회사에서는 같은 일에 더 많은 급여를 준다’ 34.1%는 ‘받는 돈에 비해 노동 강도가 너무 세다’고 답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20~30대 젊은 층의 응답이었는데요. 이들은 ‘다른 회사에서는 같은 일에 더 많은 급여를 준다’ ‘다른 사람들보다 더 적게 받는 것 같다’ 등의 이유로 인해 월급에 불만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이는 요즘 젊은 직장인들은 월급의 절대적인 수준보다는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해 월급에 대한 불만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4. 재태크, 꼭 필요할까?

전반적으로 현재의 월급 수준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직장인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에 이들은 앞으로 미래를 위해 재테크가 꼭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83.2%가 ‘월급을 잘 모아서 투자나 재테크에 활용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네요. 이들은 투자에 대해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응답자의 67.8%는 ‘월급을 쪼개서 어렵게라도 투자하지 않으면 영원히 경제적 불안감에서 벗어날 수 없다’ 65.4%는 ‘안정적인 급여와 다양한 투자활동을 병행하지 않으면 최소한의 안정적인 생활은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요즘 불고있는 주식이나 암호화폐 투자의 원인 또한 ‘적은 월급’이 이유라고 생각했습니다. 응답자 10명 중 8명 꼴인 81.1%는 ‘요즘 사람들이 주식이나 암호화폐 투자에 집중하는 현상은 월급으로만은 살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답했죠. 또한 10명 중 6명(60.1%)은 가장 적은 돈으로 투자할 수 있는 분야는 주식이라고 답했으며, 다만 20대 직장인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암호화폐가 적은 돈으로 할 수 있는 투자라는 인식이 많았습니다. 한편 직장인 절반 이상은 주식이나 암호화폐 투자를 통해 목돈이 생기면 결국은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이는 한국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처는 여전히 부동산이라는 사실도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4. 월급만큼 일한다 vs. 월급만큼 일하면 성장할 수 없다?

월급을 바라보는 시선을 통해 세대간 일을 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회사생활은 딱 월급을 받은 만큼만 하면 된다’는 주장에 동의하는 직장인은 46.6%, 그리고 이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직장인은 40.1%로 비슷한 수준이었는데요. 이 의견은 세대별로 의견이 크게 엇갈렸습니다. 주로 20~30대 직장인들은 전자에 동의했는데요. 이 의견에 대해 20대는 60%가 동의한 반면 50대는 27.2%만 동의했습니다, 그에 비해 월급을 받는 만큼만 일을 하면 결코 회사에서 성장할 수 없다는 인식은 대체로 중장년층에서 많이 보였습니다. 20대의 54.8%가 이 의견에 동의한 반면 50대는 73.6%가 동의했습니다.

 

5. 월급 외 기타소득이 있으신가요?

과연 직장인들은 월급 외 기타 소득이 있을까요? ‘그렇다’고 답한 직장인은 10명 중 4명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정기적인 수입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9.6%로 매우 드물었죠. 게다가 기타 소득이 있더라도 대부분은 월 급여보다 낮은 수입만을 얻고 있었습니다.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해 월급에는 만족하지 못하지만, 뚜렷한 기타 소득은 없으며, 이에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직장인들이 각종 투자처로 몰리고 있는 상황을 잘 반영한 설문 결과인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